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몸 이야기/질병예방

여름철 건강 지킴이! 열사병의 원인, 증상, 예방 및 대처 방법

by 베스트바디 2024. 8. 6.

여름철 건강 지킴이! 열사병의 원인, 증상, 예방 및 대처 방법

 

열사병이란 무엇인가요?

 

열사병은 신체가 과도한 열을 해소하지 못해 체온이 위험 수준까지 상승하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체온이 40°C 이상으로 올라가면, 즉시 응급 조치가 필요합니다. 열사병은 체온 조절 기능이 고장나 발생하며, 적절한 처치를 하지 않으면 생명을 잃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증상

 

1. 고열 (40°C 이상)

 - 열사병의 대표적인 징후로, 체온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2.혼란, 어지럼증

 - 정신이 혼미해지거나 방향 감각을 잃을 수 있습니다.

3. 빠르고 강한 맥박

 - 심장이 급격히 뛰며 혈압이 올라갑니다.

4. 피부가 붉고 건조함

 - 체온이 상승하면서 피부가 뜨겁고 건조해집니다.

5. 두통, 메스꺼움

 - 두통이 심해지고 구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6. 무기력감, 의식 소실

 - 심한 피로와 함께 의식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열사병의 원인

 

1. 고온 환경

 - 열사병의 가장 큰 원인은 고온 환경입니다. 특히, 여름철 야외 활동이나 고온의 실내외 작업 환경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기온이 높아지면 체온 조절이 어려워지며, 열사병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2. 신체 활동

 - 강도 높은 신체 활동은 체온을 급격히 상승시킵니다. 운동선수, 군인, 야외 근로자 등이 열사병에 특히 취약합니다. 몸에서 발생하는 체온을 빠르게 식히지 못하면 열사병에 걸릴 위험이 높습니다.

 

3. 기타 위험 요소

 -  높은 습도: 습도가 높으면 땀이 증발하지 않아 체온을 조절하기 어렵습니다

 - 수분 섭취 부족: 충분한 수분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체온 조절이 어렵습니다.

 - 알코올 섭취: 알코올은 체온 조절을 방해하며, 탈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약물 복용: 이뇨제나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은 체온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고령자와 어린이: 이들은 체온 조절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열사병에 취약합니다.


 

열사병의 증상

 

1. 초기 증상

 - 과도한 발한: 초기에는 땀을 많이 흘리게 됩니다.

 - 근육 경련: 근육이 경직되거나 경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피로와 무기력: 극도의 피로감과 무기력감을 느끼게 됩니다.

 

2. 이후 증상

 - 초기 증상을 방치하면 열사병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 고열: 체온이 40°C 이상으로 상승합니다.

 - 의식 혼미: 혼란스러워지거나 의식을 잃을 수 있습니다.

 - 경련: 심한 경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메스꺼움과 구토: 구역질과 구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응급 증상

 - 

의식 상실: 의식을 잃고 쓰러질 수 있습니다.

 - 호흡 곤란: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심한 혼란 상태: 극심한 혼란이나 불안 상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열사병의 예방 방법

 

1. 물을 자주 마셔서 체내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운동 중이나 더운 날씨에는 물을 더 많이 섭취해야 합니다. 하루에 최소 2리터의 물을 마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2. 가벼운 옷을 입고, 모자와 선글라스를 착용하여 햇볕을 차단합니다. 통기성이 좋은 옷을 입어 체온을 낮추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밝은 색의 옷이 태양열을 덜 흡수하므로 추천됩니다.

 

3. 더운 날씨에는 자주 그늘에서 휴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신체 활동 중에는 20분마다 5분 정도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이 있는 실내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열사병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4. 차가운 물로 샤워하거나, 냉각 패드를 사용하여 체온을 낮춥니다. 손목, 목, 발목 등 혈관이 가까운 부위에 냉찜질을 하면 체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열사병 응급 처치 요령

 

 

1. 그늘이나 시원한 곳으로 옮기기

 - 환자를 신속히 시원한 장소로 이동시킵니다.

 

2. 체온 낮추기

 - 차가운 물로 몸을 적시거나, 얼음 팩을 사용해 체온을 낮춥니다. 특히,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 등 큰 혈관이 있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냉각합니다.

 

3. 의식 확인

 - 환자의 의식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필요시 119를 부릅니다.

댓글